
1. 유선염 이란?
말 그대로 유방에 생긴 염증을 말합니다.
이 질환은 수유기의 염증성 질환과 비수유기의 염증성 질환으로 크게 구분하고 있으며, 유방 피부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 혹은 기타 특수한 염증성 질환들도 포함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2. 출산 후 유선염
저는 첫째 때도, 둘째 때도 유선염이 심했습니다.
특히 첫째 때는 극심한 유선염으로 4주간 고생을 하였으며, 병원에서 처방받는 약을 달고 살았고, 출장 가슴 마사지를 10만 원씩 내며 6번을 받았습니다.
제가 살면서 느꼈던 고통 중 1위가 진통 이었다면 2위는 유선염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유선염으로 고생 했을 당시 항상 입에 달고 살던 말이 "가슴이 칼에 썰리는 기분이야", "가슴이 불에 타는 기분이야"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열은 38~40도 사이를 넘나 들고, 몸은 오들오들 춥고, 가슴의 통증 때문에 팔을 들거나 몸을 움직일 때 매우 불편하며, 가슴 부분이 옷깃에 스치기라도 하면 너무 아파 눈물이 주르륵 흘렀습니다.
사람마다 다르지만 저의 경우는 잘못 된 유축기 사용과 본래 모유양이 굉장히 많은 케이스로 유선염이 낫질 못하고 심해진 케이스였습니다.
그렇게 4주의 유선염을 끝으로 첫째 때의 모유수유는 100일도 안돼 중단을 하였습니다.
(서서히 젖을 말리는 자연 단유를 했습니다.이때 당시 자연단유를 좀 더 편하고 수월하게 도와준 차를 마셨습니다. 효과가 좋았습니다. '아모마' 브랜드의 '밀 플로우 블렌드'와 '밀다운 블렌드'였습니다.)
<유축기 올바른 사용법>
1. 3시간마다 유축을 합니다.
2. 양쪽 15분씩 유축을 해줍니다. 총 30분 유축입니다.
(유축을 하실 때에 가슴 꼭지 부분을 살짝 눌러 전유를 짜주시고, 마사지 모드 5분, 착유 모드 10분 해주시면 더욱 좋습니다.)
3. 유선염이 심했을 때엔 가슴이 시원해질 정도로 유축을 하지 않습니다.
(시원해질 정도로 가슴에 있던 모유를 싹 비우게 되면 우리의 몸은 "어? 아무것도 없네? 공간이 많잖아? 그럼 더 모유를 꽉꽉 채우자!!" 하면서 양을 더욱 늘리게 됩니다. 그래서 가슴이 살짝은 불편한 정도로 유축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 이건 저만의 방법이었는데 순환이 잘되는 차를 마셔주시면 가슴이 좀 편안해집니다.
(가슴이 많이 불편해질 때의 팁입니다.)
<자연 단유 방법>
서서히 수유를 줄입니다. 8번을 주었다면 3~5일간은 7번. 또다시 3~5일간이 지나면 6번. 식으로 말입니다.
사실 이 기간은 어머님들 본인들의 자유이십니다. 수유량을 서서히 줄일수록 가슴에 통증이 시작됩니다.
그때엔 손으로 앞부분만 조금만 짜주시고 불편하시더라도 조금씩 조금씩 참으시면 서서히 자연 단유가 됩니다.
모유수유 양을 줄이게 되면 다른 걸로 대체할 분유 수유를 늘려갑니다.
둘째의 경우는 출산 후 4일째 된 날부터 몸이 안 좋아 코로나 검사를 해보니 양성반응이 나왔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젖을 물리지 못했고, 모유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가슴 크기가 농구공 만해 지면서 유선염이 심해졌으며, 유축을 해도 유축된 모유는 코로나로 인해 아기에게 먹일 수 없게 되면서 바로 단유 약을 처방받아 단유를 하게 되었습니다.
3. 단유 약
담당 의사 선생님께서 알약 4알 처방해 주셨습니다.
카버락틴이라는 단유 약이었습니다. 이것을 아침, 저녁 2일 치만 먹고, 가슴을 최대한 쪼여놓고 일주일의 시간을 기다립니다. 그럼 서서히 모유양이 줄어들면서 젖이 마르게 됩니다. 저의 경우는 담당 선생님께서 가슴에 절대 손대지 말고, 조금이라도 짜지 않고 압박붕대 같은 것으로 묶어놓고 있으라고 했습니다.. 다른 분들의 후기를 보면 단유 약을 처방받고, 단유 마사지를 받는 분이 많았더라고요.
하지만 저는 단유 마사지 없이 일주일 정도의 고통의 시간을 견디고 젖이 말랐습니다.
단유 약을 먹고 젖이 마르는 동안 통증이 2~3일까진 매우 심할것 입니다. 단유약을 먹는다고 해서 바로 단유가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서서히 마르기 때문에 이게 정말 단유가 되고는 있는 걸까? 싶으실 겁니다. 하지만 꾹 참고 일주일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통증이 많이 없어지고 더 이상 모유가 나오지 않을 것이니 인내의 시간을 조금만 버티시길 바랍니다. 또한 그 과정이 많이 아프실 때엔 타이레놀과 항생제 같은 것을 함께 드시면 더욱 도움이 될 것입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소양증 두드러기 (0) | 2022.11.15 |
---|---|
임신 중 입덧, 먹덧, 토덧 그리고 음식 (0) | 2022.11.15 |
제왕절개 출산 두통, 마취 부작용 (0) | 2022.11.14 |
제왕절개 출산, 출산 후 (0) | 2022.11.14 |
À Mouchamps 아 무샹, 커플의 소리<김모아/허남훈> (0) | 2022.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