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임신 소양증 두드러기
임신 소양증 두드러기는 임신 중 나타나는 피부 간지러움입니다.
보통 임신 초기에 나타나거나 임신 후반에 나타나거나 혹은 24주 이상이 되었을 때 나타난다고 합니다.
(사람마다 다른 것 같습니다.)
임신 소양증 두드러기는 대부분 배, 허벅지, 사타구니, 팔, 다리 등등 생기고 점점 퍼져 나아갑니다.
심할 경우 간지러워 잠을 자지도 못하고, 피부 때문에 과한 스트레스가 찾아오기도 합니다.
2. 임신 소양증 두드러기 경험자
네, 제가 그랬습니다. 둘째를 가졌을 때였습니다.
처음 시작은 임신한 줄 몰랐을 때였습니다. 계산해보니 임신 극 초기 2주~3주 차 정도 되었을 때 치킨을 먹고 얼굴에 두드러기가 나서 그땐 치킨이 잘못된 줄 알고, 급하게 약국에서 사 온 약으로 두드러기를 가라앉혔습니다. 그 후 또 며칠이 지나 또다시 얼굴에 두드러기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평소와 똑같이 음식 섭취를 했는데 또 두드러기가 올라와 그때는 병원 가서 약 처방을 받았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몸의 느낌이 첫째 를 임신했을 때와 비슷해서 테스트기로 확인을 한 후 직접 병원가서 2차 확인을 해보니 임신 이었습니다. 그리고는 먹던 두드러기 약을 우선 멈췄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 두드러기는 점점 심해졌고 부분 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닌 온몸 전체가 두드러기로 고생을 했습니다. 참기가 힘들어 산부인과와 피부과를 6개월간 오가며 약 처방을 받고, 피부연고를 받기도 했습니다. 물론 약들은 태아에게 크게 영향이 가지 않는 약들로 처방을 받긴 했지만 하루 걸러 하루 두드러기가 나고, 6개월 장기 약 복용으로 아이가 잘못될까 두려워 참기도 하고, 도저히 참을 수 없을 땐 어쩔 수 없이 약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병원 측에서도 이렇게 까지 오래, 길게 임신 중 두드러기를 갖고 있는 사람을 처음 본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더욱 두려웠습니다.
임신 7개월쯤 되어가니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약도 끊고, 연고도 더 이상 바르지 않았습니다. 많이 걱정이 됐습니다. 혹시나 출산할 때에 아기가 약 복용으로 인해 안 좋아질까 봐요.
다행히 저희 둘째는 건강하게 잘 태어났는데 몸이 안 좋으면 피부에서부터 증상이 나타납니다.
발갛게 반점이 생기거나, 농가진, 각질 벗겨짐 등등으로 말입니다..
임신 중 피부에 이상이 생기면 병원을 가는 것이 맞습니다. 치료를 받는 것도 맞습니다. 약을 복용하는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약을 처방받아도 정말 너무 힘들 때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당시 저의 피부 사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보기 힘드실 수도 있으니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3. 임신성 소양증 두드러기 치료법?
저는 산부인과와 피부과를 번갈아 가며 치료라기보다는 약 처방과 연고를 처방받기만 했습니다.
당시 한참 인터넷을 찾아보니 어떤 한의원 들은 전문적으로 임신성 소양증 두드러기를 치료하는 곳도 있는 것 같았습니다.
한의원을 통해 치료받는 방법도 괜찮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혹은 주변 여러 피부과를 가보셔서 상담을 받아보시는 방법도 좋을 것 같습니다.
저의 경험으로는 산부인과와 피부과 선생님들께서 이건 산모가 약을 안 먹지 않고는 견디기 힘들 거라고 하셨습니다. 정말 많이 심했기 때문입니다. 몸을 최대한 시원하게 하고, 고기, 유제품 같은 것도 최대한 멀리하며, 몸에 열이 안 나도록 노력을 해야 한다고 하는데 이미 두드러기가 올라오면 방법이 없기 때문에 약을 먹어야만 20~30분 안으로 금새 가라앉았습니다.
산부인과와 피부과 선생님들께서 제가 너무 걱정을 하니 태아에게 해가 되지 않는 약이니 우선 먹으라고, 스트레스가 태아에게 더 안 좋기 때문에 또한 약은 안전성을 점검받고 환자에게 맞춰지어 주는 것 이기 때문에 걱정 말라는 위로들을 많이 해주셨습니다.
4. 저와 같은 증상을 갖고 계신 산모님들께
많이 힘드실 거라 생각합니다. 나만 그런 건 괜찮은데 혹시나 태아에게 까지 안 좋은 영향이 생길까 걱정에 스트레스가 더해지실까 걱정도 됩니다. 제가 많이 심했어서 그 고통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6개월 내내 심한 두드러기를 달고 살았습니다. 특수한 경우입니다. 보통의 경우 저처럼 이렇게 까지 오래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병원을 꼭 가시고, 상담받으시고, 치료받으시고, 약 처방 꼭 받으시길 바랍니다.
유명하다고 하는 피부 간지러울 때 뿌리는, 두드러기 날 때 뿌리는 것들 웬만한 거 다 사용해 봤습니다.
먹는 약이 효과가 좋습니다. 태아에게 크게 무리가 가지 않으니 반드시 의사 선생님과 상담 후 약 복용을 추천드립니다. 부디 이 고비를 안전하게, 하루빨리 잘 지나가길 바라겠습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선물, 출산 선물 추천 (0) | 2022.11.16 |
---|---|
출산 가방, 출산 준비물 (0) | 2022.11.16 |
임신 중 입덧, 먹덧, 토덧 그리고 음식 (0) | 2022.11.15 |
출산 후 유선염, 단유방법 (0) | 2022.11.15 |
제왕절개 출산 두통, 마취 부작용 (0) | 2022.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