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모형으로 알아보는 심리테스트와 집의 모양으로 알 수 있는 심리테스트에 대해 준비를 해보았습니다.
심리테스트를 하기에 앞서 종이와 펜을 준비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이는 아이와 했을 때에 아이의 심리상태도 알아볼 수 있으니 아이와 함께 하셔도 좋겠습니다.
1. 모형으로 알아보는 심리테스트
아래의 모형을 보고 각 모형에 대한 느낌을 젂어봅니다.
예를 들어 동그라미를 보고 따뜻하다 혹은 신기하다 귀엽다 등등으로 말입니다.
2. 모형에 대한 풀이
1. 동그라미
내가 보는 나. 즉 자신이 스스로를 어떻게 생각하고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해 의미합니다.
2. 세모
타인이 보는 나. 이는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보고 있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해 의미합니다.
3. 계단
나의 인생관. 자신이 스스로의 인생을 전반적으로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해 의미합니다.
4. 십자가
나의 잠재의식. 자신의 영적인 면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 의미합니다.
5. 정사각형
나의 가족관. 자신의 가족관계에 대한 생각을 의미합니다.
6. 숫자 3을 엎어놓은 모형
내가 생각하는 사랑. 자신의 애정관에 관한 생각을 의미합니다.
3. 집의 그림으로 알아보는 심리 테스트
자신이 그리고 싶은 집을 마음껏 종이에 그려주시기 바랍니다.
4. 집의 그림에 대한 풀이
1. 지붕
지나치게 큰 지붕의 모양은 지나친 공상을 하며,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지붕이 작거나 빈약해 보인다면 상상력이 부족하고 성격이 위축되어 있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지붕의 윤곽만 반복한 그림은 두렵고 불안한 마음이 반영됨을 의미합니다.
2. 문
문이 없다면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없음 을 의미합니다.
손잡이가 없는 문이라면 사람들에 대한 의심과 경계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너무 작은 문은 우유부단하며 수줍음이 있음을 나타내는 의미입니다.
너무 큰 문은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교류를 하고 싶어 합니다.
측면에 문이 있는 경우 현실 도피를 하고 싶어 하는 의미입니다.
문이 마지막에 그려진다면 사람과 만나는 것이 싫고, 현실도피를 원할 수 있습니다.
3. 벽
튼튼한 벽의 경우 완강한 자아를 의미합니다.
얇은 벽의 경우 약하고 상처받기 쉬운 자아를 의미합니다.
부서진 벽의 경우 성격이 분열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경계선을 반복해 강조하였다면 완벽함을 추구하며 자신의 통제가 강함을 의미합니다.
투명한 벽의 경우 현심의 검증력이 부족하며 자신의 욕구가 지나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4. 창문
창문이 없다면 외부에 대해 무관심함을 의미합니다.
창문이 많다면 개방적이고 여러 가지를 하고 싶다는 갈망이 있습니다.
또한 사람들에게 인정받고픈 욕구가 있습니다.
커튼이 쳐진 창문의 경우 아름다운 것에 대한 관심이나 다가가는 것에 대한
수줍은 마음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창문이 화려하다면 참여의식이 높고 안정적인 가정을 원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창문이 작다면 심리적 거리감과 수줍음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5. 굴뚝
굴뚝을 그렸다면 애정결핍이나 성적 관심, 힘에 대한 관심, 욕심이 많은 사람을 의미합니다.
굴뚝이 없다면 수동적인 성격의 가능성이 있으며, 가족의 정서적 교류가 조금 더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6. 방
특별한 방을 그렸다면 그 방과 관련된 강렬한 경험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 경험은 긍정적일 수도, 부정적 일 수도 있습니다.
7. 욕실
욕실을 아동이 강조해서 그렸다면 가족들과 싸운 경험이 있는 경우 욕실을 강조해 그린다고 합니다.
만약 어른이 욕실을 강조해서 그렸다면 자신의 은신처가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8. 침실
침실이 조용하고 우울해 보인다면 은신처가 있었으면 하는 마음과 우울증이 있음을 암시합니다.
혹은 몸이 아픈 경우 등 침실을 그리곤 합니다.
9. 계단
사회적 상호 관계를 신경 쓰고 있음을 나타내는 의미입니다.
'심심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의식에 관한 심리 테스트 7, 8 (0) | 2022.12.23 |
---|---|
무의식에 관한 심리테스트 4, 5, 6 (0) | 2022.12.21 |
사람 그림으로 보는 심리테스트 (0) | 2022.12.19 |
그림으로 알아보는 심리테스트 (0) | 2022.12.17 |
무의식에 관한 심리 테스트 2 , 3 (0) | 2022.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