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심풀이

사람 그림으로 보는 심리테스트

by 가이아야 2022. 12. 19.
반응형

오늘은 사람 그림을 알아볼 수 있는 심리테스트를 해보려 합니다.

이 테스트를 하기에 앞서 종이 한 장과 펜을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번 사람 그림 테스트는 자신의 심리와 성격에 대해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1. 종이에 사람의 전신을 자유롭게 그려주시기 바랍니다.

 

 

2. 그림에 대한 풀이, 해석

1. 그림의 성 정체성 (남자 인가 여자)

대부분의 경우 자신과 동일한 성의 인물을 그립니다.

하지만 자신과 다른 성, 남성을 여성을, 여성은 남성을 그렸다면

이성에 대한 관심이 높거나, 자신의 성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있는 

상태일 수도 있습니다.

 

2. 머리의 크기

만약 이 그림 테스트를 하고 있는 사람이 아동이라면 

머리를 크게 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성인이 사람 그림을 그리는데, 체격보다 머리를 크게 그린 경우

자신의 신체적 불만, 지능에 대한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

 

머리를 너무 작게 그린 경우엔 사회적 열등감, 평소 의기소침한 성격을

사지고 있다는 의미로 보여집니다.

 

3. 눈

눈을 크게 그렸다면 외향적인 성격의 소유자 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눈이 너무 검은색 이거나, 위협적이고, 날카롭게 그렸다면 

평소 공격적인 성격을 갖고, 표출하고 있다고 합니다.

 

눈을 작게 그리거나, 눈을 감고 있는 그림을 그렸다면

내향적인 성격을 가졌거나, 자아도취적인 성격일 수 있으며

작은 눈에 비해 안구가 크다면 시각적 호기심이 강한 사람일 수 있습니다.

 

4. 눈썹

눈썹을 정돈되게 그렸다면 평소 몸단장에 있어서 민감함을 가질 수 있습니다.

조잡하거나 지저분한 눈썹을 그렸다면 평소 몸단장에 있어 거리가 멀고,

난폭한 성격의 성향이 보입니다.

 

5. 귀

귀를 강조하거나 크게 그린 경우 청각적 호기심이 많으며, 망상적인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만약 귀를 그리지 않았다면 사회적으로 위축되거나,

타인에게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 민감해하며, 두려움을 가진 사람 일 수 있습니다.

 

6. 코

코의 경우 크게 그렸다면 성적인 부분에 크게 호기심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반대로 코를 작게 그렸다면 성적인 부분에 두려움을 느낀다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코 그리지 않았다면 귀를 그리지 않은 것과 같이 사회적으로 위축되거나,

타인에게 자신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대해 민감해 하며, 두려움을 가진 사람 일 수 있습니다.

 

7. 목

목의 경우 정서적 문제로 해석이 되고는 합니다.

긴 목을 그렸다면 완고한 성격, 형식적이며 도덕적 철칙이 강한 사람일 수 있습니다.

짧거나 굵은 목을 그렸다면 상당히 충동적인 인물로 해석이 됩니다.

 

8. 어깨

어깨를 비대칭으로 그렸다면 정서적으로 불안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어깨를 크게 그렸다면 사회적으로 강해지고 싶은 욕구를 지녔다고 볼 수 있으며,

반대로 어깨를 작게 그렸다면 그의 반대로 해석이 됩니다.

 

9. 팔

그림의 인물이 팔짱을 꼈다면 적대심, 경계심, 불신 등이 강한 사람 일 수 있습니다.

또한 팔을 그리지 않았다거나 팔의 많은 부분이 가려졌다면 사회적으로 무력함, 우울증,

현재 환경에 대한 불만, 불안감 등을 지니고 있을 수 있습니다.

 

10. 손

허리에 손을 올렸다면 평소 분노를 참고 있다거나,

인간관계에 대한 반감이 강한 사람 일 수 있습니다.

손가락을 길고 가늘게 그렸다면 공격적인 성향을 지녔다 볼 수 있습니다.

혹은 손을 동그랗게 표현하거나 선으로만 그렸다면

자신의 신체적 불만, 불안감을 가졌을 수 있습니다.

 

11. 다리

다리를 길게 그렸다면 사회적으로 자주적인 태도를 지니려 노력하는 인물로 보입니다.

짧은 다리를 그렸다면 정서적 발달이나 무언가를 헤쳐 나아감에 대한 노력을 기피한다고 보입니다.

 

12. 발

긴 발을 그렸다면 사회적으로 강해 지거나, 안정적이고자 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고 보입니다.

반대로 발을 작게 그렸다면 의존심이 강하며, 사회적 역할에 대한 무감각하게 보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