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임산부 중이염, 중이염 치료

by 가이아야 2022. 11. 16.
반응형

1. 중이염 이란?

 공기를 환기시키는 이관의 기능 문제 혹은 세균 감염 등으로 생기게 되는 염증 증상으로써 보통 감기에 걸렸을 때 같이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이염에 걸리게 되면 통증과 고름, 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청력기능의 손상으로 이어지기도 하며, 이명 현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또한 통증을 동반한 귀와 연결된 머리, 코, 목 에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중이염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이 된다면 만성 중이염이 됨으로 오랜시간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그러므로 귀에 불편함이 느껴지신다면 곧바로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고 치료를 받고 약 처방을 받아 드시길 바랍니다.  

 

2, 중이염 치료 방법

 4~7일 정도의 항생제와 진통제를 처방받아 먹게 됩니다. 

대부분 이 정도의 기간동안 약을 투여하게 되면 낫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약을 투여함에도 전혀 낫지 않고 통증이 지속되고 이물감이 들며 귀의 상태가 안 좋아진다면 고막 절개술을 해야 합니다.

고막을 절개하여 그 안에 있는 염증을 떼어내는 수술을 해야 합니다. 수술 후에 또다시 항생제와 진통제를 투여하며 경과를 지켜보게 됩니다. 

 

3. 임산부 중이염, 임신 중 중이염

 저는 첫째 때도, 둘째 때도 웬만한 산모들이 잘 겪지 않는 경험들을 해봤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많이 힘들었습니다.

체력이 받쳐주지 못했던 것인지 임신 기간 아팠던 적도 많고, 약 처방도 정말 많이 받아먹어 봤습니다. 그 여러 개 중 이번은 중이염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둘째를 가졌을 때 고생을 많이 했었습니다. 임산부 소양증 두드러기를 달고 살았고, 중이염도 걸리고... 그래서 둘째를 임신했을 때에 약을 많이 지어먹었습니다.. 

 

 어느 날 아침부터 목이 붓고 아프기 시작하더니 그날 저녁부터는 귀가 먹먹해지더니 아파오기 시작했습니다. 새벽이 되어 갈수록 귀 안쪽이 터지는 느낌이 들듯 아팠고 앉아있는 것도 힘들 정도로 통증이 심했습니다. 안 되겠다 싶어서 우선 가까운 이비인후과로 달려갔는데 급성 중이염인 것으로 보이는데 임신 초기 어서 항생제와 진통제를 함부로 쓸 수 없어 약을 지어줄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정 아프면 타이레놀을 먹어 진통 효과를 볼 수 있게끔 도와주실 수는 있다고 했습니다. 혹은 우선 산부인과에 가셔서 담당 의사 선생님께 여쭤보라고 하시기에 그렇게 곧바로 산부인과를 가게 되었습니다.

 

 산부인과의 담당의사 선생님께 이비인후과를 다녀왔는데 급성 중이염이라고 하더라, 약 처방을 못해준다고 하더라, 나는 귀가 터질 듯이 아파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겠다고 하니.. 선생님께서는 '때에 따라서는 급하게 항생제 투여를 해야 한다. 아프지 않은 게 우선이기에 항생제와 진통제 모두 먹어야 한다. 우선 3일 치 지어 줄 테니 먹어보셔라, 사실 3~5일 치 항생제를 투여함으로써 태아가 엄청 아파지거나 잘못될 일은 극히 드물긴 하다'라고 말씀해 주시며 3일 치의 약을 처방받아먹었습니다. 다행히도 2일 치를 먹자마자 금방 나았고 약을 끊었습니다. 

 

*임신 중 특히니 임신 초기에 항생제 투여를 오래 하게 되면 태아에게 무리가 될 수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혹여 저처럼 임신 중 중이염이 걸리셨다면 이비인후과가 아닌 우선 산부인과 담당 선생님께 가보시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저와 같이 이비인후과에 가셔서 중이염 진단 확인 후, 산부인과 담당 선생님께 말씀드리고 약 처방받는 방법이 제일 좋은것 같긴 합니다. (산부인과 선생님께서는 이비인후과처럼 진료를 보지 않으시니까요. 담당 전문의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최고의 방법은 우선 아프지 않은 게 제일 좋지만 아프게 되면 반드시 약국에서 혼자 약사서 절대 드시지 마시고, 진료받으신 후에 병원 약을 처방받아 드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