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이유식 잘 먹지 않는 아기

by 가이아야 2022. 12. 11.
반응형

1. 이유식을 잘 먹지 않는 아기

- 생각보다 꽤 있습니다. 평소에 잘 먹던 아기도 갑자기 안 먹기도 합니다. 분명 무언가 이유가 있겠죠.

가끔 우리 어른처럼 안먹고 싶은 날이 있을 수도 있고, 배가 불러 안 먹을 수도 있고, 정말 간혹 몸에 이상이 있어 먹지 않는 경우 또한 있겠습니다.

 

2. 아기가 이유식을 먹지 않을 때 확인 해야할 것 들.

-1. 몸무게 부터 확인합니다.

출생 시 대비해 몸무게가 많고 최근 몸무게 또한 충분한데 이유식을 잘 먹지 않는다면 수유량이 많은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사실 이유식을 먹지 않는 아기들의 대부분이 이 수유량이 많아 배가 불러 먹지 않는 경우라고 합니다.

그리고 만약 아기가 출생 시 대비 몸무게는 많이 늘었으나, 최근 들어 몸무게가 늘지 않는다면 이것은 아이가 몸무게를 조절하기 위해 먹는 것 일 수도 있다고 하니 억지로 먹이지 않는 것이 좋으며, 아기의 수유량이 하루 500~600cc가 넘는다면 이유식 양을 늘려주시기 바랍니다. (시간이 지나면 다 나아집니다.)

 

2. 밤중 수유를 확인합니다.

잘 때 수유를 하면 배고파서 먹는 리듬이 잘 안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유식 시작 전에 밤중 수유를 중단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의 경우는 첫째 둘째 밤중 수유도 하고 다음날 아침에 수유 1번 그리고 그다음 텀 직전 30분 전에 먹이니 배고플 쯤에 아기가 이유식을 잘 먹었고, 분유를 조금 먹게 되었습니다. (이유식 먹고 분유를 먹으니 배가 불러 분유를 알아서 줄여서 먹더라고요.)

 

3. 수유량이 많은지 확인합니다.

수유량이 많으면 이유식을 먹지 않는 게 당연합니다. 배가 부르기 때문입니다. 아기마다 뱃고리가 다릅니다. 분유통에 적힌 대로 "이때에는 이 정도의 분유를 먹여야 하니, 이만큼 먹이고 이따가 이유식 먹여야지"라고 생각하셔서 수유를 하고 이유식을 주려고 하면 안 먹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대개의 분유통에 쓰여있는 수유량은 아기가 먹는 거에 비해 훨씬 많은 양을 먹이는 경우가 많아서라고 합니다. 그러니 평소 아기가 먹는 양, 그리고 수유량을 줄이며 이유 식량을 늘리는 것에 집중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이유식을 시작하면 수유량을 조금씩 줄이면서 이유식 양을 늘려야 합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수유량은 그대로에 이유식을 먹이려 해서 아기는 먹기 힘들어합니다.

4. 환경이 바뀐 경우 일 수도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먹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이유식을 얼마 먹지 않았다고 수유량을 계속 늘리면 안 됩니다.

그렇게 되면 더 이유식을 먹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환경이 바뀐 경우라면 뭔가 더 해주거나 하지 마시고 평소 하던 대로 하시면서 이유식 패턴에 문제가 생기지 않았던 때로의 환경으로 맞춰주시길 바랍니다.

 

5. 아파서 안 먹는 경우 일 수 도 있습니다.

몸이 아프면 안 먹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먹는 패턴을 바꾸거나 하지 마시고 평소 하시던 대로 일정하게 먹이면서 안 먹으면 어쩔 수 없고요. 지켜보시다가 보통 아픈 게 나아지고 회복과정에서 다시 잘 먹게 될 수 있으니 조급해하지 마시고 잘 먹게 될 때까지 그저 기다려주시면 됩니다. 만약 아이가 너무 이유식을 못 먹어서 수유량이 어쩔 수 없이 늘게 되었다면 회복기간에는 갑자기 잘 먹는 경우가 많으니 이때 이유 식량을 늘리는 패턴으로 해서 원래의 패턴을 하루빨리 찾는 것이 좋겠습니다. 

 

3. 결론

- 1. 이유식을 시작하면 수유량을 줄입니다.

2. 아이가 이유식을 안 먹는다고 수유량을 늘리는 행위는 하지 않습니다.

3. 몸이 안 좋아 그런 거라면 기다려줍니다.

회복기간이 되면 몸 자체에서 많은 에너지와 비타민들을 원하기 때문에 잘 먹는 경우가 많아지니 이때에 이유식을 잘 먹이면 됩니다.

 

수유량 줄이기, 이유식 양 늘리기, 패턴 바꾸지 않기, 그저 기다려 주기로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반응형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돌 치레, 열 꽃  (0) 2022.12.13
출산 후 오로 배출, 자궁 수축, 훗배 앓이  (0) 2022.12.12
아기 열날때 대처법  (0) 2022.12.11
아기 기저귀 발진  (0) 2022.12.10
아이와 크리스마스 즐기는 법  (0) 2022.12.09

댓글